플러터(Flutter)란? 구글에서 만든 Dart 언어로 개발 가능한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 입니다.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iOS 모바일,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 합니다. 공식 개발환경 IDE로는 VSCode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있습니다. 크로스플랫폼(Cross Platform) : “교차”를 뜻하는 “Cross”와 Platform의 합성어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즉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동작 할 수 있는 플랫폼을 크로스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플러터(Flutter) 설치 하기 Notice : 플러터를 설치하기 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Studio)를 먼저 다운로드 해주세요. 1. 플러터 홈페이지 접속 먼저 플러터(Flutter) 홈페이지에 ..
Google Search Console Google Search Console이란 ? 나의 웹사이트(블로그) 포스팅이 구글(Google) 사이트 내 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이 가능 하도록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1. Google Search Console 시작 먼저 Google Search Console로 이동하여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URL 접두어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 후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소유권 확인 아래와 같이 ① html 파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한 뒤 ② 블로그 작업폴더에서 최상위 폴더인 index.html이 있는 위치에 다운로드한 html파일을 넣어 줍니다. Github Desktop을 이용해 commit과 push를 해준 후 서치콘솔 페이지로 돌아와 ③ 확인 버튼..
깃랩(GitLab)이란? 깃랩은 프로젝트 버전관리를 위해 사용되며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면서 발생하는 변화들을 기록해서 소프트웨어의 변화를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시스템 입니다. 서버에 소스코드를 저장함으로서 협업, 백업, 프로젝트 홍보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깃랩은 서비스형 원격저장소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거나, 소스코드의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주로 사용합니다. 깃랩(GitLab) 장점 설치형 서버제공으로 자체 형상관리 서버운영가능합니다. Private Repository를 무료로 사용가능합니다. 개발 영역뿐만 아니라 모든 라이프사이클을 커버하기 때문에 GitHub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합니다. 깃랩(GitLab) 단점 push/pull의 속도가 느립니다. 종종 서버상태..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를 이용하여 자바코드의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 모든 요소에 사용 할 수 있으며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여 특별한 의미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입니다. 즉,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일종의 메타데이터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바나 스프링에서 제공해 주는 어노테이션도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는 것 또한 가능 합니다. 어노테이션(Annotation)의 등장 배경 메타데이터는 설정 정보 저장의 역할을 하고 이를 xml 형태로 작성하여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IT의 발전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IOC Container의 설정이 복잡해지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노테이션이 등장했습..
프로시저(Procedure)란? 프로시저는 한번의 요청으로 여러 SQL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시저에 묶인 SQL문들은 하나의 쿼리로 해석되어 처리됩니다. 쉽게 말해 MySQL에서 함수를 정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트리거와는 달리 함수처럼 매개변수를 받을 수 있고 결과값 또한 반환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구조 /*기존에 프로시저가 있으면 삭제*/ DROP procedure IF EXISTS {프로시저 이름}; DELIMITER $$ CREATE PROCEDURE {프로시저 이름} ( {IN | OUT | INOUT} {파라미터명 데이터타입} ) BEGIN DECLARE {변수명} INT(10) DEFAULT NULL; 쿼리문 END $$ DELIMITER ; 프로시저(Pro..
트리거(Trigger)란? 트리거는 데이터 조작 언어(DML)의 데이터 상태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어떤 테이블에서 특정 이벤트(insert, update, delete)가 발생했을 때, 실행시킬 쿼리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하는것을 트리거(Trigger)라고 합니다. 기본 구조 DROP trigger IF EXISTS {트리거 이름}; --> 트리거 이름이 존재하면 삭제 DELIMITER $$ CREATE TRIGGER {트리거 이름} {BEFORE | AFTER} {INSERT | UPDATE| DELETE } ON {테이블 이름} FOR EACH ROW BEGIN 트리거 내용 END DELIMITER ; 트리거(Trigger) 종류 행 트리거 : 테이블 안의 영향을 받는 행 ..
$(document).ready() 외부 리소스 및 이미지 로딩과 관계 없이 DOM(document object model)트리 생성 직후 실행됩니다. 중복으로 사용 가능하기때문에 순서대로 실행됩니다. DOM 생성 -> $(document).ready() -> 외부 리소스 및 이미지 로드 -> window.onload window.onload 모든 자원의 로딩이 모두 끝난 후에 실행됩니다. 페이지가 로드 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전역 콜백함수 입니다. 한 페이지에서 하나의 window.onload 함수만 적용되기 때문에 가장 나중에 호출된 window.onload함수만 실행됩니다. 와 같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attribute의 onload=”“만 작동할뿐 window.onload 는 동작하지 않습..
MySQL 이란? MYSQL은 오라클이 지원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입니다.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고 여러가지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또한 사용하기 용이하며 크기가 큰 데이터 집합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MySQL 다운로드 Download MySQL : https://dev.mysql.com/downloads/mysql/ 1. 링크 접속 위 링크에서 MySQL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아래 Go to Download Page 버튼을 클릭합니다. 2. Download 아래와 같이 Download 버튼을 클릭합니다. MySQL 설치 1. 설치 유형 선택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 후 설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데 필요한것..
Github Blog(깃 블로그)란? Github 저장소에 저장된 html 파일과 같은 정적 웹 문서들을 GitHub에서 무료로 웹에서 볼 수 있도록 호스팅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바로 Github Page입니다. 이 Github Page를 이용하여 Blog를 만든것이 Github Blog(깃블로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Github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누구나 고유의 정적 웹 사이트 가질 수 있습니다. Github page 생성 github 가입이 되어 있지 않다면 Github 먼저 가입해주세요! 1. 깃허브 접속 본인의 Github계정(https://github.com/{username})으로 접속 후 New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레포지터리 생성 repository name을 아래와 ..